그레샴의 법칙 뜻과 현실사례,예시


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재정가인 토머스 그레샴(Thomas Gresham / 1519-1579)이 발견했다고 알려진 경제 이론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그레샴의 법칙으로 명명함


"가치 나쁜 돈은 가치 높은 돈을 몰아낸다"(Bad money drives out good)


같은 의미로 유명한 명언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나쁜 돈이 좋은 돈을 몰아낸다는 의미)



그레샴의 법칙 뜻과 유래


당시에는 은이나 동으로 화폐를 만들어서 유통을 했는데 순도가 높은 은이나 동이 "양화(良貨)"이고 순도가 떨어지는 Bad money가 "악화(惡貨)"입니다. 화폐의 순도에 관계 없이 돈의 액면가치는 동일하기 때문에 순도가 높은 은화나 동화는 집에 보관하거나 다른 용도로 쓰고 순도가 낮은 화폐만 쓰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이것이 "구축(驅逐)한다"=몰아낸다)


이런 현상이 화폐 유통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경제 및 사회현상을 설명하는데 유용하다고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었습니다.


사실 그레샴이 영국 정부의 재정 고문관으로 있으면서 엘리자베스 1세에게 아버지인 헨리 8세처럼 질낮은 화폐를 만들어서 정부의 재정수입을 늘리자고 주장하고 시행을 했는데 이미 그레샴 이전에 순도가 낮은 화폐를 만들어서 정부의 재정을 늘리는 일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레샴은 이것을 다시 시행하도록 주장했고 엘리자베스 1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이것을 언급했는데 약 300년 뒤에 스코틀랜드 경제학자 헨리 더닝 매클라우드에 의해서 "그레샴의 법칙"으로 명명이 되었습니다.


기록에 의하면 당시 그레샴이 한 말은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 보다는 "좋은 돈과 나쁜 돈은 같이 둘 수 없다"(good and bad coin cannot circulate together)에 더 가깝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튼....정부가 은의 함류량을 줄여서 재정 수입을 늘렸는데 정부 뿐만 아니라 일반 사람들 중에서도 은화의 옆면을 갈아서 은화가루를 얻어내 은화의 은 함류량을 줄이는 이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현물가치가 있는 화폐본위제도에서는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현상인데 1971년에 미국이 금과 달러의 태환을 금지하고 나서부터 지폐 본위제도에서는 더이상 그레샴의 법칙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추가적으로...동전 옆면을 보면 톱니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죠...이것은 사람들이 금화 은화의 가장자리를 몰래 깍아서 다른 금화를 만드는 것이 잦아졌기 때문에 흠집을 내면 티가 나도록 톱니 모양을 새겨넣은 것이라고 합니다.(이 아이디어는 아이작 뉴턴이 왕립 조폐국 국장으로 근무하면서 낸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10원짜리 동전에 함유된 동의 가치가 10원보다 높아지면서 10원짜리를 모아서 녹인 다음 동을 추출해서 되파는 일당들이 적발된 적이 있습니다.(10원짜리 동전을 만드는데 드는 원가가 약 34원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레샴이 법칙 현실사례 예시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驅逐)한다"는 말은 여러 사회현상이나 정치현상에서도 매우 자주 언급되는 말입니다. 어떤 경우가 있는지 사례와 예시를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그전에 알아두셔야 하는 것은


구축이라는 한자어인데....여기서 구축(驅逐)은 몰 구,쫓을 축을 쓰는데 일반인 알고 있는 구축은 構築, 만들다의 한자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한자어를 잘못 이해하면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을 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아울러 이 말은 화폐를 두고 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이야기를 한 것인데 이 개념을 무시하고 인문학적으로 혹은 관용적으로 사용을 하게 되면 무식하다는 소리를 들을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을 해야합니다.


즉...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것을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기억하고 써야하는데 비슷해 보이는 다른 의미에 빗대어 쓴다면 오히려 잘못된 것이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중고차 시장에 빗대어 설명을 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 중고차 시장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으로 인해서 품질이 좋은 물건은 딜러들이 아껴두고 품질이 낮은 물건을 먼저 팔려고 하기 때문에 중고차 시장에서는 질이 나쁜 중고차만 거래가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와 의미는 비슷해 보이지만 내용은 전혀 다른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런 현상은 레몬시장의 문제라고 한다는 것도 기억해 두시면 좋겠네요(레몬=좋지 않은 물건)


악화(형편 없는 중고차)가 양화(질 좋은 중고차)를 구축한다(몰아내고 그 자리를 차지했다)...비유의 대상이 딱 맞게 떨어지고 현상에 대한 설명도 직관적으로 맞기 때문에 적절한 비유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원래의 의미는 전혀 다른 것이라는 것을 알아두셔야 합니다.


실생활에서는 관용적인 표현으로 "나쁜것이 좋은 것의 자리를 빼앗는다"는 의미로 많이 쓰는데 이것은 원래 이 말이 의도했던 의미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즉 이러한 표현을 쓸 때에는 적어도 원래 의미와는 다르지만.......관용적으로 쓰이는 부분에서는....이라고 단서를 달아둔다면 최소한 무식하다는 비판에서는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Posted by finance master